본문 바로가기

경제

(6)
미국 주식 공매도 확인 사이트 대표적 공매도 사이트 1위 Naked Short Reporthttps://nakedshortreport.com/ Naked Short Report, Nasdaq and NYSE Naked Short Positions, Short Selling Interest nakedshortreport.com 장점 : 직관적으로 공매도 비율을 확인 할 수 있다. 단점 : 1달 만의 데이터만 볼수 있다. 2위 chartexchangehttps://chartexchange.com/symbol/nasdaq-mram/short-volume/ MRAM Short Volume | ChartExchangeMRAM Short Volumechartexchange.com 단점 : 인터페이스가 쉽지 않고 비 직관적이니다. 장점 : 전체 ..
차트 분석(4) 이동평균선 or 이평선 이동평균선(이평선)이란? 주가의 평균값이 이동하는 흐름의 선을 말합니다. 주식장이 일반적으로 1주에 5일 이므로 1주 5일, 2주 10일, 4주 20일, 3개월 60일선, 6개월 120일, 1년 240일이라합니다.  예를 들면  종가5일선 이평선1월 2일  (월요일)1,000-1월 3일  (화요일)1,010-1월 4일  (수요일)1,010-1월 5일  (목요일)1,020-1월 6일  (금요일)1,0401016(SMA)1월 9일  (월요일)1,05010261월 10일 (화요일)1,06010361월 11일 (수요일)1,05010441월 12일 (목요일)1,05010501월 13일 (금요일)1,0401050 5일선 [1,000+1,010+1,010+1,020+1,040]/5 = 1,0165일선 [1,010+1..
차트 분석(3) 거래량 거래량이란? 거래량이란 주식장 시작부터 주식장의 종료된 기간에 거래된 주식의 수로 매수량 또는 매도량이라고도 말합니다.그 이유는 100주를 매입하였다면 100주를 판매하였기 때문에 총 거래량은 200주 이지만 주식장에서는 200주라고 하지 않고 거래량을 100이라고 합니다. 즉 거래량 = 매수량 = 매입량 이 됩니다. 빨간색으로 표현한 것이 거래량을 나타냅니다. 차트를 보면 급등과 급락의 부분에 차트의 거래량을 보면 평소보다 유독많은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세력이 들어왔을 확률이나 호재로인해서 시장가로 긁어서 급등 할 확률이 많습니다. 이전에 가격의 결정은 호가 단위로 매도 및 매수를 일정 숫자로 올려 놓아 거래를 하는데 개미들이 거래를 예약하는 시간을 주지 않고 호가의 가격을 바로 다 매집하여 들어 ..
차트 분석(2) - 차트의 캔들 1. 캔들의 기원 에도시대 8대 쇼군 요시무네 당시 쌀 거래로 일본 경제를 흔들던 사카타의 거상(巨商)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 1717-1803)의 삶과 상인 정신, 그의 투자법을 다루고 있다. 캔들 차트의 고안자로 알려져 있고, 사께다 전법으로 잘 알려진 사카타 5법은 세계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투자비법이다.  그는 혼마 가문을 쌀 투자로 3년동안 재산을 10배를 불렸다. 그러나 혼마 무네히사는 파문이 됩니다. 원래 혼마 가문은 장사를 하는 가문이지 투자를 주종목으로 하는 가문이 아니 였기에 추자로 경영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진정한 후계자가 3년동안 자리를 비운 자리에 경영을 하였기에 후계자가 온 후에 파문을 당하였습니다. 지금 생각하여보면 능력이 너무 좋아서 일부러 견제를 한것이 아닌가하는..
차트 분석(1) - 주식 가격의 결정 원리 1. 주식의 가격 결정은 부동산가격 결정 원리와 같다. 부동산과 주식은 서로 시장이 다르다고 한다. 모두가 알듯이 다르다 그러나 가격의 결정 형성의 원리는 같다흔히들 생각하는 것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 곡선이다. 경제학에 많이 나오는 곡선이다. 부동산의 가격 형성원리를 보면 4억짜리를 누군가 부동산 시장에 올려 놓은다. 4억에 올려 놓으면 구매자들이 집을 구경하고 가격과 실제 가치에 대하여 저울질을 해보고 구매를 한다.  하지만 실제 구매를 할때에는 2000만원 깍아서 구매 한다. 그러면 3억 8천만원에 가격이 결정되고 그 부근에 단지는 3억 8천만원에 가격이 결정이 된다.  2. 주식 가격의 결정 부동산은 구매자와 매도자가 가격의 합의가 된다면 바로 합의된 가격에 결정이 되는 것이다. 바로 가격 상승과 ..
미국의 경기 침체 지표(삼의 법칙) 미국의 경기 침체를 어떻게 예측하냐에 딸라서 미국 주식의 향방이 갈린다고 할 수 있다.경제학자 클라우디아 샴에 의하여 만들어진  Sahm rule의 법칙으로 삼의 법칙은 최근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치가 앞선 12개월 동안의 저점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으면 경기침체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한다.실제 역대 경기침체를 보면진한 회색라인이 경기침체에 접어 든 구간이다.  실제 0.5%이상의 넘어가는 구간 뒤에는 경기침체가 1번빼고 접어들었고 그 한번 마저도 3개월 뒤에 경기 침체가 왔다.(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을 보면된다) 실제적으로 이 규칙은 너무 잘 작용한다. 그래서 항상 연준을 보면 인플레이션 지표인 CPI와 근원 PPI를 보지만 함께 꼭보는 것이 실업률이다. 이 법칙은 아직까지 도 유효하여 경제 지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