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이평선)이란?
주가의 평균값이 이동하는 흐름의 선을 말합니다. 주식장이 일반적으로 1주에 5일 이므로 1주 5일, 2주 10일, 4주 20일, 3개월 60일선, 6개월 120일, 1년 240일이라합니다.
예를 들면
종가 | 5일선 이평선 | |
1월 2일 (월요일) | 1,000 | - |
1월 3일 (화요일) | 1,010 | - |
1월 4일 (수요일) | 1,010 | - |
1월 5일 (목요일) | 1,020 | - |
1월 6일 (금요일) | 1,040 | 1016(SMA) |
1월 9일 (월요일) | 1,050 | 1026 |
1월 10일 (화요일) | 1,060 | 1036 |
1월 11일 (수요일) | 1,050 | 1044 |
1월 12일 (목요일) | 1,050 | 1050 |
1월 13일 (금요일) | 1,040 | 1050 |
5일선 [1,000+1,010+1,010+1,020+1,040]/5 = 1,016
5일선 [1,010+1,010+1,020+1,040+1,050]/5 = 1,026
위의 표를 차트로 변화 시켰을 때에 1월 12일 목요일 종가가 이평선과 만나고 다음날 이평선보다 낮아진다. 차트를 볼때 하락의 예상으로 심리가 간다고 파악한다.
종가를 기준으로 평균을 낼때 단순하게 평균을 내서 단순평균이동선 (Simple Moving Average, SMA) 이라고 한다.
이 이동평균선 이외에 2개더 있다. 지수 이동평균선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과 가중 이동평균선 (Weighted Moving Average, WMA)이 있습니다.
이평선의 분석
배열 | 차트 | 설 |
정배열 | ![]() |
순서대로 10일, 20일, 60일, 120일 선이 위치해 있는 경우를 정배열 = 추세 상승 |
역배열 | ![]() |
반대로 120일, 60일,20일, 10일 선이 위치해 있는 경우를 역배열 = 추세 하락 |
골드크로스 | ![]() |
장기 이평선 밑에 단기 이평선이 오랜 시간 위치해 있다가 장기 이평선을 뚫고 위로 나오는 지점을 골든크로스라고 이야기합니다. |
데드크로스 | ![]() |
골든크로스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뚫고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
추가
이격도
이격도는 다른 여러 지표에서도 사용되는 개념으로 이평선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거래량과 관련이 있으며 힘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힘이 세면 간격이 벌어지고 힘이 약해지면 간격이 좁아지는 것입니다.
이격도가 점점점 벌어지게 되면 앞으로 강한 힘을 바탕으로 추가 상승의 여력이 남아 있는 것이며 이격도가 점점 줄어들면 힘이 빠져 앞으로 추가 상승은 어렵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평선은 주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며 5,10,20,60,120,240일선의 종류가 있으며 이평선의
정배열, 역배열,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의 모양이 있으며 이평선이 달라 붙거나 멀어지는 이격도가 있습니다.
'경제 > 주식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공매도 확인 사이트 (0) | 2024.08.16 |
---|---|
차트 분석(3) 거래량 (0) | 2024.08.07 |
차트 분석(2) - 차트의 캔들 (2) | 2024.08.04 |
차트 분석(1) - 주식 가격의 결정 원리 (0) | 2024.08.04 |
미국의 경기 침체 지표(삼의 법칙) (1) | 2024.07.28 |